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체지방률보다 중요한 제지방률 관리법

by movemoo 2025. 3. 25.
반응형

체중 감량을 위해 운동을 시작했을 때, 나도 모르게 체중계의 숫자에만 집착했던 적이 있다. 그리고 인바디 결과지를 받아들고 나서야 깨달았다. 체중이 줄긴 했는데, 정작 중요한 건 숫자 그 자체보다 그 안의 구성이라는 사실. 그때 처음 접한 개념이 ‘제지방률’이었다. 체지방률이 아니라, 제지방률. 이름도 낯설었고, 정확히 뭘 의미하는지 몰랐지만 왠지 중요한 숫자라는 느낌이 강하게 들었다.

 

체지방률, 제지방률, 관리, 인바디, 측정

제지방률, 그 처음 낯선 지표가 알려준 것들

인바디를 처음 분석해봤을 때, 나는 체중은 줄었지만 제지방량도 같이 빠져 있었다. 체지방률은 낮아졌다고 좋아했지만, 사실은 근육과 체수분까지 줄어든 결과였던 것이다. 한참 뒤늦게야 알게 됐다. 제지방률은 단순히 지방을 뺀 몸무게가 아니라, 몸을 구성하는 ‘질’의 기준이라는 걸 말이다. 제지방률이란 체중에서 체지방을 제외한 나머지, 그러니까 근육, 뼈, 수분, 내장기관 등으로 구성된 무게가 차지하는 비율이다. 전문가들이 말하길, 이 비율이 높을수록 건강한 체성분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나 역시 경험적으로 느낀다. 운동을 하고 근육이 붙었을 때, 비슷한 체중이라도 몸이 훨씬 탄탄하고 가볍게 느껴진다는 걸 말이다. 어떤 숫자가 내 몸 상태를 설명해주는 느낌이 들었던 건, 체중이나 체지방률이 아닌 제지방률이 처음이었다. 내 몸이 건강하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가늠할 수 있는 진짜 지표라는 느낌. 수치적으로는 남성 기준 75~85%, 여성은 65~75% 정도가 건강하다고 하지만, 사실 중요한 건 수치의 정답이 아니라, 내 몸이 잘 기능하고 있는가 하는 감각에 더 가깝다.

인바디를 보는 ‘나만의 방식’

요즘은 인바디를 볼 때 체중은 거의 신경 쓰지 않는다. 오히려 눈이 먼저 가는 건 ‘체성분 분석’ 항목이다. 여기에서 제지방량과 체지방량을 확인한 뒤, 제지방률을 머릿속에서 곧바로 계산해본다. 전체 체중에서 제지방이 얼마나 차지하는지를 대략적으로라도 파악하면 내 상태가 감으로 들어온다. 솔직히 처음엔 계산도 귀찮았고, 이 숫자들이 뭘 의미하는지도 몰랐다. 그런데 몇 달간 꾸준히 데이터를 비교하면서, 변화가 생기면 몸도 그에 따라 반응하는 걸 체감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체중은 1kg 줄었지만 제지방량은 유지됐다면, 정말 성공적인 체형 관리였다고 느낀다. 물론 인바디 수치만으로 모든 걸 판단하긴 어렵다. 측정 환경, 수분 상태, 전날 식단에 따라서도 결과가 달라지니까. 하지만 대략적인 경향은 분명히 보여준다. 나만의 기준은, 제지방률이 78~80% 이상이면 '지금 잘 가고 있다'는 안도감을 갖게 된다. 정답은 없지만, 이렇게 자신만의 기준을 만들어가다 보면 인바디 결과지도 훨씬 친근하게 느껴진다.

제지방률을 지키기 위한 일상의 작은 선택들

제지방률을 높이기 위해 거창한 걸 해야 한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의외로 그 기본은 일상 속에 숨어 있다. 나의 경우, 가장 먼저 바꾼 건 식단이었다. 굳이 식단표를 만들진 않았지만, 매 끼니에 단백질을 넣으려고 노력했다. 아침에 계란, 점심엔 닭가슴살, 저녁에는 콩이나 두부 같은 식물성 단백질. 그렇게 몇 주가 지나자 어느새 식사 후 포만감도 오래가고, 군것질 생각도 줄었다. 운동도 마찬가지다. 예전에는 무조건 유산소 운동만 했지만, 지금은 주 3~4회는 근력 운동 위주로 시간을 보낸다. 무거운 걸 드는 게 처음엔 낯설고 힘들었지만, 어느 순간부터는 그게 스트레스를 풀어주는 루틴이 되었다. 운동 후 근육통이 있을 때, 오히려 제지방률이 잘 유지되고 있다는 신호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그리고 정말 중요한 건, 회복. 수면이 부족하면 아무리 운동과 식단을 열심히 해도 제지방률이 떨어지더라는 걸 경험으로 배웠다. 지금은 매일 같은 시간에 자고 일어나려 노력하고, 충분히 쉬는 것도 운동만큼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런 작은 습관들이 쌓여서 결국 내 몸을 만든다. 숫자가 아니라, 내 몸에 대한 감각을 믿고 실천하다 보면 제지방률은 자연스럽게 따라오는 것 같다.

 

처음엔 몰랐지만, 이제는 알 것 같다. 체중은 거울 앞에서 보이는 모습이고, 체지방률은 외형적인 수치라면, 제지방률은 내가 내 몸을 ‘어떻게 살아가고 있는가’를 보여주는 지표라는 걸. 내 몸과 건강을 위한 진짜 기준은 남들이 만든 수치가 아니라, 나 스스로 정하는 ‘균형감’이라는 걸 말이다.

반응형